본문 바로가기

현대사회학

(8)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9(세계화와 사회변동)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8(현대사회학 이론) 앤서니 기든스 #8(현대사회학 이론)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7(기능주의, 갈등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앤서니 chartist1206.tistory.com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앞의 글 요약 현대사회학 전통사회학이 가진 이론적 딜레마, 범주의 협소성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 정립되었다. 여기서 이론적 딜레마중 하나는 인간 행위의 근본 요인이 사회구조인지 아니면 개인의 선택인지에 대한 논쟁인 '구조와 행위의 딜레마'다...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8(현대사회학 이론)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7(기능주의, 갈등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앤서니 기든스 #7(기능주의, 갈등이론,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6(사회학 이론의 배경, 뒤르켐, 마르크스, 막스 베버) chartist1206.tistory.com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앞의 글 요약 전통사회학 근대에 출현한 사회학 이론. 마르크스, 막스 베버, 뒤르켐이 만든 세 가지 이론적 전통에 기반한다. 경제 시스템, 계급, 산업, 이데올로기 등을 사회의 핵심 요소..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6(사회학 이론의 배경, 뒤르켐, 마르크스, 막스 베버)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5(사회학의 연구조사방법) 앤서니 기든스 #5(사회학의 연구조사방법)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4(사회학의 조건3)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chartist1206.tistory.com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앞의 글 요약 양적 연구 많은 연구 대상의 데이터 수집 가능 연구 대상 하나하나의 사회학적 맥락 정보수집은 빈약 질적 연구 연구 대상 하나하나의 사회학적 맥락 정보수집은 풍부 많은 연구 대상의 데이터 수집 어려움 사회학적 ..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5(사회학의 연구조사방법)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4(사회학의 조건3)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앞의 글 요약 1.사회학적 현상은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로 설명된다. 상관관계 - 두 현상이 단순히 함께 변하는 관계, 즉 공변관계이다. - 두 변수 간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인과관계 - 두 변수가 공변관계이면서도 어느 한쪽이 변하면 다른 한쪽이 영향을 받아 변한다. 2. 사회는 인과관계에 관한 통념(이데올로기)을 생산한다. 이 때, 사회적 요소의 통념적인 기능을 '명시적 기능'이라고 한다. 반면, 사회적 요소가 실제로 수행하는 기능, 숨겨진 기능을 '잠재적 기능'이라고 한다. 미시사회학에서는 사..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4(사회학의 조건3)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3(사회학의 연구과정)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앞의 글 요약 사회학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질문 제기 - 연구하길 원하는 영역에서 막연한 수준의 질문을 제기한다. 선행연구 검토 - 질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필드의 현황을 파악한다. 주제 설정 - 선행 연구 검토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면서도 연구자 재량으로 가능한 영역을 주제로 설정한다. 연구 설계 - 연구 주제에 맞는 연구 방법(설문조사, 인터뷰, 실험, 역사 자료 검토 등)을 계획한다. 결론 및 의의 정리 - 연구를 진행하여 얻어진 결론의 의의를 정리한다. 인과관계에 관해 사회학은 ..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3(사회학의 연구과정)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앤서니 기든스 #2(사회학의 조건1~2)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앞의 글 요약 사회학이 타 학문의 사회 연구와 차별화되는 지점은 세 가지다. 첫 째, 인간에 대한 경험적 연구, 즉 실험과 관찰로 데이터를 추출하는 연구방식이다.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과 정보수집을 한다는 점에서 사회학은 윤리적 문제에 부딪힌다. 둘 째, 사회학은 과학적 연구를 원칙삼는다. 여기서 과학이란 과학철학의 입장에서 불명확하게 정의되므로, 과학적 방법론을 따르는 데 집중한다. 이 글에서는, 사회학의 세 번째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먼저 사회학에서의 연구 과정을 살펴보겠다. 세 번째 조건은 다음 ..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2(사회학의 조건1~2) 해당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 을 읽고 쓴 정리글로 여러 편으로 나눠 개재했습니다. 이전 글 주소 https://chartist1206.tistory.com/7 앤서니 기든스 #1 사회학이란 무엇일까. 앤서니 기든스는 사회학을 ‘사회의 현상이나 행위, 그리고 사고방식의 사회학적 맥락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한다. 사회학적 맥락이란 말이 어렵다면 커피를 한번 chartist1206.tistory.com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사회학의 근본적인 조건에 관해 이전 글에서 보았듯, 사회는 사회학적 맥락에 기반한다. 사회학적 맥락이 변화하면 우리에게 익숙한 사회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런 설명만으로는 사회학이 다른 사회연구에 비해 특별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현대사회학> 앤서니 기든스 #1. 서론(사회학적 맥락) 이 글은 사회학자 '앤서니 기든스'의 「현대사회학」을 정리한 것 입니다. 1. 사회학이란 무엇일까. 우리에게 '사회'는 그리 낯설지 않은 단어다. 뉴스들은 사회부 뉴스를 따로 두고 있고 시민들은 공적인 문제를 얘기할때 사회라는 단어를 쉽게 듣거나 말하곤 한다. 오늘 날 시민들은 자기가 속한 사회에 대해 나름대로의 많은 걸 알고 있다. 하지만, 사회학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방식은 이와 다르다. 통념적으로 사회학은 사회를 연구하는 학문에 불과하지만, 앤서니 기든스는 사회학을 ‘사회의 현상이나 행위, 그리고 사고방식의 사회학적 맥락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으로 정의한다. 그렇다면, 사회학적 맥락이란 무엇일까. 사회학적인 맥락에 대해 커피를 예로 들어보자. 커피는 세계인들이 일상에서 가장 즐겨 먹는 음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