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4) 썸네일형 리스트형 [jsp&servlet] 인코딩 방식을 통한 한글 깨짐 처리, 정상 출력 인코딩 방식이란, 문자열을 바이트로 전환하거나 반대의 과정에서 사용하는 규칙 같은 것이다.영어는 1바이트, 한글은 2바이트를 기본으로 사용하는데, 인코딩 처리 방식을 설정안하면 비영어 언어는 html이나 get, post 전송 과정에서 깨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요즘에는 UTF-8을 사용하는데, 거의 모든 언어의 인코딩 가능하기 때문이다. 방법1: 개별 파일 인코딩 처리HTML 파일(JSP) 인코딩참고로, include하는 파일의 인코딩 타입이 원래 파일과 다르면, 에러가 발생함. 주의사항servlet에서 비영어 문자열을 처리하기 위해 UTF-8을 사용할 것이다.그러기 위해서는 HTML파일이 제출하는 form도 UTF-8을 사용해야 한다.따라서 html 파일은 인코딩 방식을 이것으로 설정하는 게 일반적이.. [jsp&servlet] error page 설정 방법 에러페이지는 런타임 단계에서 에러 발생 시 이동하는 페이지다.이는 리다이렉트가 아니라 서버단에서 클라이언트 요청에 보여줘야 할 페이지를 에러 페이지로 임시 교체하는 것이다. 방법페이지 상단에 지시어 설정 주의사항에러페이지는 스크립트릿 태그에서 발생한 에러, 즉 service 메소드가 돌아가는 라이프 사이클에서의 에러가 발생할 때만 작동한다. 선언 태그에서 발생한 에러에는 반응하지 않으니, try 문을 사용해서 에러 처리하거나 다른 방법을 써야 한다. 참고로 에러 페이지 자체도 url 접근 가능하다. 그러니 누가 url로 접근 할시 예외처리가 필요하다. 만약 에러 페이지에서 에러 객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설정이 필요하다.교체할 에러 페이지 상단에 지시어 설정 참고자료https://velog.io/@jipa.. [jsp& servlet] jsp 스크립트, 내장 객체, 요청 응답 jsp 스크립트jsp 스크립트는 jsp파일 내에서 자바 코드를 삽입하는 방법이다.삽입된 스크립트는 웹 컨테이너에서 jsp파일이 servlet으로 컴파일될 때 service 메소드로 삽입된다.그리고 파싱된 html의 소스코드에서는 소스 코드에서 배제되므로 보안 상으로 안전하다. 선언 태그멤버 변수 혹은 메서드를 선언할 수 있는 태그다.여기서 선언된 변수는 라이프 사이클 내내 유지된다. 즉, service 메소드의 매 호출 마다 초기화되지 않고 유지된다.형식 | 코드 %> 주석 태그html 주석 태그클라이언트 소스 코드 쪽에 남는 일반적인 html 주석이다.형식 | 주석 -->단축키 | ctrl shift c JSP 주석 태그서버 단에서만 볼 수 있는 주석 태그다.형식 | 주석 --%> ( 스크립트릿 태.. servlet의 기본 사용법1(request, response, life cycle, form 처리) servlet request, responseWAS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서블릿에 적합한 리퀘스트 객체로 반환해준다. 그러면 서블릿 파일은 이를 이용해 관련 작업을 하고 응답을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은 request method에 따라 서블릿에서 받는 방법도 달라지는데, get은 doGet 메소드에서, post는 doPost 메소드에서 받을 수 있다. get요청에 대한 간단한 응답public class New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PrintWriter o..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