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1)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관련 작업을 하면서 느낀 점 최근에 회사 코드에 깃 커밋 작업을 하게 되면서 대충 배울때는 알지 못했던 걸 배우고 있다. 1. 분석용 브랜치가 별도로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 - 페이지 단위의 대규모 코드는 많은 state와 글로벌 상태, 유틸 함수, useEffect로 채워져 있다. 따라서 중요한 변수를 체크하고 useEffect의 용도를 파악하려면 일일히 분석 내용을 주석으로 달아가는 게 최선책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되면 코드가 지저분해졌다. 그러면 나중에 git pull을 받을 때 이 주석 부분을 reset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이 아쉽다면 분석용으로 프로젝트를 복사해놓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분석용으로 dev1_char-tae-young을 만들어놓자. 2. 분석용 코드에는 절대 작업을 하지 말자. 분석용 코드는 주석 등으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