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아한 테크코스

(3)
[우아한 테크코스 6기 - 프리코스(프론트엔드)] 회고 3: 변수명 짓기 이 시리즈는 우아한 테스코스 6기의 프리코스 과정에서 유용했던 내용을 주제 별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프로젝트일수록 유지보수나 협업을 위해 직관적인 변수명을 사용해야 한다. 그렇다고 해서 이름을 축약해도 안되고 너무 상세하게 지어도 안되니 감이 안잡히는데 이번 기회에 기본적인 규칙을 정리했다. 예시로는 너무 간단한 프로젝트를 드는 건 의미가 없으니, mvc 패턴을 적용한 프로젝트라 생각해보자. 1. 한눈에 예측 가능한 변수명은 1,2 단어가 적당하다. 많아도 3단어를 넘지 말자. 가장 중요하고 간단하지만, 이 규칙을 지키기가 쉽지 않다. 이유는 이렇다. 1~2 단어로 메소드명을 지을 경우, 단어 각각은 메소드가 하는 역할과 그 대상을 가리킨다. 예컨대, 컴퓨터와 3판 2선승 가위바위보를 하는 게임을..
[우아한 테크코스 6기 - 프리코스(프론트엔드)] 회고 2: README.md 작성법 이 시리즈는 우아한 테스코스 6기의 프리코스 과정에서 유용했던 내용을 주제 별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 목차 README.md 란? 기본 구성 컨셉 기능 예외 상황 테스트 추가 구성 목차(네이게이션) 디자인 구조 작성 형식 팁 # README.md 란? 프로젝트를 설명하는 문서이며 우아한 테크코스(우테코)는 프로젝트의 컨셉과 기능, 예외 상황 테스트 목록을 우선으로 구성하라 조언합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목차, 디자인 구조, 세부 기능 설명을 넣으면 됩니다. * 예시는 아래 링크를 참조했습니다. 이 글 자체에 부분적으로 실어놨으니 예시 전체를 보고 싶은 경우에 참고하세요. https://github.com/charchar111/javascript-christmas-6-charchar111/tree/m..
[우아한 테크코스 6기 - 프리코스(프론트엔드)] 회고 1: 개요 # 참여 소감 프리코스 과제는 비전공자인 나에게 성장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동안 나의 공부는 컴퓨터의 자료 구조나 개발 패턴처럼 이론적인 뿌리가 아니라 html, css, javascript, 그리고 프레임워크 등 도구와 클론 코딩을 중심으로 배워 왔다. 따라서, 당장 눈 앞에 보이는 웹을 짜는 건 익숙하지만, 로그인 폼의 예외적 경우를 결함 없이 구현하거나 유효성 검사를 하는 등 복잡한 로직을 로 짜는 경험은 전무했다. 이렇게 코드를 짜다 보면, 작동은 하지만 유지보수나 확장이 어려운 코드를 짜게 된다. 소위, "작성한 본인도 보기 싫은 코드"다. 나같은 개발자라면 이번 과제는 좋은 기회가 되었을 것이다. 오로지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javascript)로만 복잡한 로직을 구현하고 조합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