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관련 작업을 하면서 느낀 점
최근에 회사 코드에 깃 커밋 작업을 하게 되면서
대충 배울때는 알지 못했던 걸 배우고 있다.
1. 분석용 브랜치가 별도로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
- 페이지 단위의 대규모 코드는 많은 state와 글로벌 상태, 유틸 함수, useEffect로 채워져 있다.
따라서 중요한 변수를 체크하고 useEffect의 용도를 파악하려면 일일히 분석 내용을 주석으로 달아가는 게 최선책이었다.
그런데, 그렇게 되면 코드가 지저분해졌다.
그러면 나중에 git pull을 받을 때 이 주석 부분을 reset해야 하는데, 이런 부분이 아쉽다면 분석용으로 프로젝트를 복사해놓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분석용으로 dev1_char-tae-young을 만들어놓자.
2. 분석용 코드에는 절대 작업을 하지 말자.
분석용 코드는 주석 등으로 이미 불필요한 변경사항이 많이 추가된다. 그래서 만약 뭔가를 작업하면 작업한 부분을 merge할 때 참 귀찮아 진다.
3. git add를 잘 이용하자.
개인 프로젝트 작성 때는 git add . 으로 모든 코드를 커밋해도 괜찮았지만, 회사 프로젝트에서는 쓸데 없는 커밋 하나가 프로젝트 전체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이런 부분을 잘 체크해서 필요한 거만 add 하자.
이 부분은 vsc 탭의 source control에 아주 잘 마련되어 있으니 이쪽을 이용하면 더 수월하다.
4. git pull은 항상 잘하자.
코드를 변경한 뒤에 커밋을 할 때 내 커밋이 원격 커밋보다 뒤에 있으면 나중에 git pull을 하고 merge를 할 때 귀찮은 사항이 생긴다. 방법은 이렇다.
- 변경 사항을 commit하여 로컬 저장소에 저장
- 원격 저장소의 최신 변경 사항을 가져오기 위해 pull
- pull을 수행한 후,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면(push하기 전에) push
이 과정에서도 위 단락처럼 vsc의 source control 탭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merge 역시 마찬가지로 vsc의 비교기능을 잘 이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