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스 스타일이란, 변수나 함수명을 짓는 일관된 방식이다. 이는 프로젝트에서 팀원 간에 일관된 명명방식을 만들어서 가독성을 올려준다.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4가지 케이스 스타일에 대해 다룬다.
- camelCase
- kebab-case
- PascalCase
- snake_case
카멜 케이스(camel case)
- 변수명이 마치 낙타의 혹처럼 위아래로 굴곡진 형태다.
- 첫 글자는 소문자로 적는다.
- 이어지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적는다.
- data per page ➡ dataPerPage
케밥 케이스(kebab case)
- 변수명이 마치 케밥의 꼬치같은 형태다.
- 첫 글자는 소문자로 적는다.
- 이어지는 단어는 하이픈(-)으로 구분한다.
- data per page ➡ data-per-page
- 하이픈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뺄셈 명령어로 예약되어 있으므로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방식은 주로 css나 html에서 사용된다.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
- 카멜 케이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 이어지는 단어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 data per page ➡ DataPerPage
스네이크 케이스(snake case)
- 변수명이 마치 뱀처럼 이어지는 형태다.
- 첫 글자는 소문자로 적는다.
- 이어지는 단어는 언더바(_)로 구분한다.
- data per page ➡ data_per_page
'프로그래밍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밍 일반] MVC, MVP 웹 디자인 패턴에 대해 (0) | 2024.03.17 |
---|---|
[우아한 테크코스 6기 - 프리코스(프론트엔드)] 회고 3: 변수명 짓기 (1) | 2023.11.21 |
[우아한 테크코스 6기 - 프리코스(프론트엔드)] 회고 2: README.md 작성법 (0) | 2023.11.21 |
[우아한 테크코스 6기 - 프리코스(프론트엔드)] 회고 1: 개요 (0)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