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일반

[코드 컨벤션] 케이스 스타일(카멜 케이스, 케밥 케이스, 파스칼 케이스, 스네이크 케이스)

케이스 스타일이란, 변수나 함수명을 짓는 일관된 방식이다. 이는 프로젝트에서 팀원 간에 일관된 명명방식을 만들어서 가독성을 올려준다.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4가지 케이스 스타일에 대해 다룬다.

 

  • camelCase
  • kebab-case
  • PascalCase
  • snake_case

 카멜 케이스(camel case)
  • 변수명이 마치 낙타의 혹처럼 위아래로 굴곡진 형태다.
  • 첫 글자는 소문자로 적는다.
  • 이어지는 단어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적는다.
  • data per page ➡ dataPerPage

 

케밥 케이스(kebab case)
  • 변수명이 마치 케밥의 꼬치같은 형태다.
  • 첫 글자는 소문자로 적는다.
  • 이어지는 단어는 하이픈(-)으로 구분한다.
  • data per page   data-per-page
  • 하이픈은 자바스크립트에서 뺄셈 명령어로 예약되어 있으므로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방식은 주로 css나 html에서 사용된다.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
  • 카멜 케이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 이어지는 단어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 data per page DataPerPage

 

스네이크 케이스(snake case)
  • 변수명이 마치 뱀처럼 이어지는 형태다.
  • 첫 글자는 소문자로 적는다.
  • 이어지는 단어는 언더바(_)로 구분한다.
  • data per page  data_per_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