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팩 같은 걸로 빌드를 하면 devServer와 다르게 실제 배포를 가정하고 테스트해봐야 할 때가 있다.
serve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간단한 http 서버를 만들고 실행해보자.
(serve는 일반적인 was나 express와 다르게, 서버 사이드 동적 요청 처리가 안되니 주의)
웹팩으로 빌드하여 ./dist 파일을 했다.
이제 serve를 설치하자.
npm install -g serve
그리고 package.json에 빌드 파일을 serve 서버로 실행할 커맨드를 설정한다.
- ./dist 파일을 실행
- 포트번호는 5000
"scripts": {
"start:build": "serve -s dist --listen 5000",
},
'프로그래밍 일반 > 프론트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cra, vite 없이 직접 리엑트 프로젝트 세팅하기2(webpack) - 프록시 서버 (1) | 2024.11.18 |
---|---|
웹 폰트의 동작 방식 (2) | 2024.11.13 |
[프론트엔드] public 폴더와 src 폴더의 차이 (0) | 2024.11.06 |
[모노레포, 마이크로 프론트엔드(MF)] 호스트 앱과 리모트 앱 동시 실행하기 (1) | 2024.11.04 |
[react] cra, vite 없이 직접 리엑트 프로젝트 세팅하기1(webpack) - 바벨, 타입스크립트, css 전처리, 환경변수, 정적 파일 (0) | 2024.08.18 |